밸브에 대한 용어

밸브는 용도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여기에 맞도록 특별하게 고안된 밸브의 종류도 많다.
따라서 밸브에 관한 용어도 많을 수밖에 없다. 밸브 용어를 국가 표준으로 정한 것은 KS B 0100 밸브 용어가 있다. 

(1) 밸브공학과 관련한 용어  

용어용어 (영문)용어설명
구동장치 Actuator 전기, 공압, 유압 또는 이러한 에너지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밸브를 작동시키는 장치
주변 환경 조건  Ambient conditions밸브 주변 환경의 압력과 온도를 말함 
백 플로우 Back flow 정상 또는 예상되는 유체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는 흐름
배압 Back pressure 토출 시스템의 압력으로 인해 압력 릴리이프 장치의 출구에 존재하는 정압(靜压)
백 시트 Back Seat 스템이 완전히 열렸을 때 스템 또는 디스크 홀더의 시팅 표면과 접촉하는 본닛 또는 본닛 부싱의 시트. 스템과 본닛 내부 사이는 이들 접촉을 통하여 기밀을 제공. 유동 매체의 밸브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므로 밸브가 개방되어 압력을 받는 동안 밸브 패킹을 교체할 수 있음
차단 및 배출밸브 Block & Bleed Valve  양쪽 밸브 끝에서 동시에 흐름을 차단하는 두 개의 시팅면이 있는 밸브와, 시팅면 사이의 공동부에 있는 잔류 유체를 분출(Vent)하거나 배수(Drain) 하기위한 수단의 밸브.
밸브가 닫히면(Blocked) 드레인이 열리고 시트 사이에 갇힌 유체가 배수(Bleed)됨 
블로우다운 밸브 Blowdown Valves, BDV  BDV는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거나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시스템 또는 구성 요소의 압력을 방출(낮추는)하는 데 사용. 일반적으로 고에너지 시스템의 BDV에는 유량 조절 역할의 브리드 밸브(Globe Valve)와, 브리드 밸브의 후단에는 차단 밸브(Stop Valve or Gate Valve)가 필요.  
BDV 자체는 시스템 또는 구성 요소 격리를 위한 차단 밸브로 간주
보일러 블로우다운 밸브Boiler Blowdown Valves  보일러 운전에서 블로우다운은 필수 공정으로,  소형 보일러의 경우 주 블로우다운 밸브를 통하여 보일러 내의 수질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음. 중대형 보일러에는 추가적인 블로우다운 시스템이 사용됨. 가장 간단한 방법은 보일러의 적절한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전 설정된 연속 블로우다운 밸브(CBD, Continuous Blowdown Valve)의 채택으로, 수질을 자주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연속 블로우다운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함.
두 번째 방법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제어 밸브로서 보일러를 정기적, 간헐적으로 블로우다운 하는(Intermittent Blowdown) 방법으로 보일러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을 수행해야 함. 세 번째는 블로우다운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 보일러 용수의 전기 전도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물 속의 고형물 수준을 측정하고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자동 제어 블로우다운을 실시
본닛 Bonnet밸브 스템이 선형 또는 회전 운동을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압력을 받는 밸브 몸체를 닫는(폐쇄) 압력 유지 구성 요소
밸브 포트경 Valve Port or Bore diameter 밸브내의 유체 흐름 통로 가운데 가장 작은 통로의 내경. 일명 보아경(Bore Diameter)라고도 함
버블 타이트 Bubble Tight 밸브의 시트 차단의 등급을 말하는 것으로, 밸브의 상류 측을 공압으로 가압하고 밸브 하류 측을 물로 채운 상태에서, 밸브를 완전히 닫았을 때 하류 측 물에서 기포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시험된 밸브를 버블 타이트 (밸브)라고 함
바이패스 Bypass 밸브가 닫힘 위치에서 밸브의 유량 제어 요소 (디스크, 플러그 등) 주변의 유체 흐름을 어느정도 허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배관 라인.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된 스톱 밸브를 바이패스 밸브라고 함
캐비테이션 Cavitation이것은 밸브에서 유체 흐름이 밸브의 포트경을 지나는 베나-콘트렉타(Vena-Contracta) 지점에서 유체 압력이 증기압 미만으로 떨어져 흐르다가 다시 증기압 이상으로 압력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발생. 유체가 증기압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짐으로 인해 증기 기포가 형성되고, 이어서 압력이 회복되면서 기포가 순식간에 붕괴되는 현상의 일련 과정을 케비테이션이라 함. 기포가 붕괴되면서 그 압력파의 영향으로 밸브와 밸브 출구 측 파이프의 금속 표면이 침식될 수 있음
채터링 Chattering(1) 밸브의 디스크와 시트가 거의 접촉한 상태로 운전하는 릴리이프밸브나 자동 제어 밸브의 무빙 부품에서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반복적인 디스크의 작동상태
(2) 체크밸브와 같이 자력식 밸브의 무빙 부품인 디스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반복적인 작동상태를 보이는 것 
초크드 흐름Choked Flow 밸브 후단의 압력을 낮춰도 유량을 증가시킬 수 없는 경우. 액체 응용 분야에서 이는 캐비테이션 또는 후라싱에 의해 발생된 증기 기포로 인하여 발생하며 유로를 틀어 막기도 함. 가스의 경우에도 막힌 밸브 출구 압력은 가스 흐름을 증가시킬 수 없음
닫힘 압력Closure Pressure 안전밸브와 릴리이프밸브에서 밸브 디스크가 시트와 다시 시팅 되거나, 리프트가 0이 되도록 감소하는 밸브 입구의 정압과 같게 되는 압력
토출계수Coefficient of discharge, Cd  (1) 안전밸브와 릴리이프밸브에서 압력 릴리이프 밸브의 이론적 릴리프 용량에 대하여 실제 측정된 릴리프 용량과의 비율
(2) 유체 시스템에서 노즐과 오리피스의 흐름 및 압력 손실 거동을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무 차원 숫자로 유체 흐름의 저항계수 K 와 토출계수는 반비례 관계
유량계수Coefficient of flow단위 차압 아래에서 완전 개방한 밸브를 통과하는 유량. 유량계수는 단위 1psi (6.9kPa) 차압으로 온도 60℉(16℃)의 물이 분당 얼마만큼 흐르는가를 3.8리터(1갤론)로 측정. 밸브계수라고 부름 
상온 동작 압력Cold working pressure, CWP이것은 정상 서비스 중에 밸브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주변 온도에서 취급 유체의 최대 압력. 대표적인 취급 유체를 기준하여 “물-오일-가스 (WOG)” 압력 등급이라고도 함
제어밸브Control Valve 밸브를 통하여 유체의 흐름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에서 하나의 제어요소역할을 하는 밸브
연속 블로우다운Continuous Blowdown, CBDCBD 설치는 일반적으로 ppm/ppb의 농도 수준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열역학적으로 용이하게 화합물로 침전 될 수 있는 스팀 드럼에서 용해 된 고체 불순물 (Ca+, Mg+, Na+, PO4+, Cl- 등)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공정 프로세스. 이들 화합물질은 증기/복수 시스템의 성능 저하 (예 : 열 전달 감소, 압력 강하 증가) 및 메커니즘 손상
(예 : 응력 부식 균열, 침적물 부식, 부식성 가우징, 산에 의한 부식 등)으로 이어지는 증기 터빈, 응축기 또는 증기 / 응축수 순환의 다른 부분 , 산 부식 등)을 수반할 수 있음
크레킹 압력Cracking Pressure 닫힘 상태의 체크밸브의 디스크가 열리기 시작하고, 밸브를 통하여 유체 흐름이 이뤄질 때의 체크밸브 입구 압력
초저온 밸브Cryogenic valve가스가 액화되기 시작하는 지점보다 낮을 때의 온도범위를 극저온 환경이라고 하는데, 통칭하여 약 -100℃에서 절대 0(K)도 까지의 온도를 가진 유체에 적용하는 밸브를 말함. 초저온 밸브는 본닛 부분과 스템을 길게 설계하여, 초저온 유체가 밸브 본체에 있을 때 밸브 패킹과 밸브 조작부에는 상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함.
밸브는 패킹이 밸브 본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방향이 지정되고, 긴 본닛(Long Bonnet) 내부에는 기화된 증기 가스 포켓이 형성되도록 온도에 따라 본닛의 길이를 조정하여야 함. 롱 본닛은 초저온 유체로부터 패킹을 보온하는데 효과적이다. 참고로 절대 0도(-273℃)는 열 에너지가 존재하지 않는 온도이다. 대표적으로 액화 천연가스의 비등점은 -162℃, 액체 산소 -183℃, 액체질소 -196℃, 액체수소 -253℃ 이다.
디스크Disc유체 흐름의 통로에 위치하여 유체 흐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밸브 부품을 말함. 밸브 형태에 따라 디스크는 플러그, 볼, 웨이퍼, 게이트(쐐기형, 평행 판 등) 또는 기타 기능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형태가 있음. 국제 표준에서는 닫힘 장치(Obturator) 라고 칭함.
더블 디스크Double Disc게이트밸브에 있어서, 두개의 개별 디스크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의 디스크를 조합하여 게이트밸브의 시팅면과 합치시킨 디스크 
유량 특성 Flow Characteristic 밸브의 스트로크(행정거리)와 유량계수사이의 관계를 정의한 것
유량 제어요소 Flow Control Element 밸브의 구성 요소로써, 유체 흐름을 제어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부품. 예로써 디스크, 케이지 또는 프러그 등
유해 물질 배출 Fugitive Emission 밸브에서 대기 환경으로 누설되는 유해 독성물질을 통칭
풀 보어 Full Bore 밸브의 포트경이 연결된 파이프의 내경과 거의 같을 때의 밸브 포트경. 풀 포트(Full port)라고도 함
풀 스텔라이트 Full Stellited 밸브의 시팅 면인 시트와 디스크의 접촉 또는 슬라이딩면을 내부식성, 내마모성 재질인 스텔라이트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육성 보강(Surface overlay)한 밸브를 칭함 
하프 스텔라이트 Half Stellited 밸브의 시팅 면인 시트와 디스크 중에 시트 면만을 내부식성, 내마모성 재질인 스텔라이트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육성 보강(surface overlay)한 밸브를 칭함 
표면 경화 Hard Facing 마모가 예상되는 금속 표면을 단단한 내마모성, 내부식성 물질로 증착하거나 육성(Overlay)하는 것 
ISNRS Inside Screw Non-Rising Stem  스템의 나사부가 밸브 몸체안에 있어, 스템이 회전하면 밸브 디스크가 스템 나사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지만 스템 그 자체는 제자리에서 회전운동만 하도록 한 밸브의 스템 구조를 말함
ISRS Inside Screw-Rising Stem 스템의 나사부가 밸브 몸체안에 있어 취급 유체에 노출되어 있고, 스템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스템도 상하로 움직이도록 한 밸브의 스템 구조를 말함
랜턴 링 Lantern Ring 랜턴 링 유형의 패킹 챔버에 사용되는 스페이서 링으로 패킹의 윤활, 스템에 퍼지 또는 누설 확인을 하는 시스템에 사용 
누설 확인 연결부 Leak-off Connection 스터핑 박스의 랜턴 링이 장착된 부분에 구멍을 내어 이곳에 파이프 또는 튜브를 연결한 것을 말함. 하부 랜턴 링 타입의 패킹에서의 누설되는 유체를 수집하거나 스터핑 박스 내에 윤활유를 주입하는 데 사용
라이너 Liner 배관 내부 또는 배관 시스템의 구성 기기(밸브와 밸브 트림을 포함) 내부의 표면에 부식, 침식 또는 오염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보호재를 말함
라이너 플레이트 Liner Plate 배관 내부 표면을 유체 흐름에 따른 물리적, 화학적인 부식, 침식 또는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덧 붙혀지는 보호 판재 
역류 방지 밸브 Nonreturn valve 스톱체크밸브라고 하며, 디스크(또는 프러그)를 기계적으로 힘을 가하여 닫히게 할 수 있는 체크밸브 
OS&Y Outside screw & yoke 스템의 나사산 부분이 밸브 몸체의 외부에 있게 설계한 밸브로써, 밸브 스템이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너트(슬리이브)를 본닛 요크에 설계함. 따라서 스템의 스터핑 박스 내의 스템 표면은 윤활면을 유지하면서 유동 매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구조의 밸브 스템. 
파이롯 부착 압력 릴리이프밸브 Pilot operated pressure relief valve 메인 릴리이프 장치가 자체적으로 작동하는 보조 릴리이프밸브와 결합, 제어되는 압력 릴리이프밸브 
동력구동 압력 릴리이프밸브 Power actuated pressure-relief valve 메인 릴리이프 장치가 외부의 에너지 원을 필요로 하는 (보조)장치 와 결합, 제어되는 압력 릴리이프밸브 
90도 회전 동작 밸브 Quarter-turn valve 밸브의 닫힘 부재가 약 1/4 회전(90도)하여 완전 열림 위치에서 완전 닫힘 위치로 되는 밸브 
레듀스드 포트 Reduced port 밸브와 연결된 배관의 내경보다 작은 (시트)포트를 가진 밸브. 게이트밸브의 경우, 호칭 직경보다 한 단계 낮은 파이프 내경과 거의 비슷하며, 볼밸브의 경우에는 풀보어(Full Bore) 내경의 60%의 내경을 말함
정상 포트 Regular port 볼밸브나 프러그밸브에서 사용되며, 볼밸브의 경우 풀보어의 약 75~90% 수준의 내경, 프러그밸브의 경우에는 풀보어의 60~70%의 내경을 가진 포트를 말함. 
회전 동작 밸브 Rotary motion valve 밸브의 닫힘 부재가 90도 회전 동작을 포함하여, 회전 동작으로 밸브를 열거나 닫는 구조의 밸브 
럽처 디스크 Rupture Disc 배관 시스템내에서, 장치의 입구 정압에 의해 작동되고, 압력에 의해 디스크 판 장치가 파열되어 압력을 릴리이프 하는 장치로 한번 작동하면, 다시 폐쇄할 수 없음 
시트 Seat 밸브의 닫힘 부재가 유동 매체의 차단을 이루기 위해 누르는 밸브의 유로 포트 부분 
시트 링 Seat Ring 밸브의 닫힘 부재가 차단 효과를 주기 위하여 밸브의 시트형태로 밸브 본체 내부의 유로 통로에 삽입된 별도의 부품 
설정 압력 Set Pressure 릴리이프 또는 안전밸브의 열림 기준 압력을 정하는 밸브 입구의 정압 
짧은 면간 밸브 Short Pattern Valve ASME B16.10에서 규정한 짧은 면간을 갖는 밸브를 통칭함 
증기 사용 압력(SWP) Steam Working Pressure 증기서비스 용도로 밸브가 사용될 때, 초과해서는 안되는 최대 정격 또는 작동압력을 말함. 밸브에 S, SP 또는 SWP로 표기함 
행정 Stroke 밸브의 닫힘 부재가 완전 닫힘에서 완전 열림까지 소요되는 거리(mm)나 각도(Degree, °) 
조절 Throttling 완전 개방 및 완전 닫힘 위치 사이에서 닫힘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여 유체 유량 또는 압력을 조절하는 프로세스. 
트림 Trim 배관내의 유체에 노출되는 밸브의 기능 부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스템, 케이지와 프러그, 디스크와 같은 부재 및 시팅 부재를 말함. 유동 매체와 접촉하는 부품으로, 제거 가능하거나 교체 가능한 밸브의 내부 부품을 통칭하여 밸브 트림이라고 함. 몸체, 보닛, 요크 및 이와 유사한 품목의 밸브 부품은 트림으로 간주되지 않음. 
벤츄리 포트 Venturi Port 풀 포트 직경의 40~50% 정도의 작은 내경을 가진 밸브 포트 또는 보어를 벤츄리 포트라고 함. 
웨이퍼 몸체 Wafer Body 연결되는 배관의 직경보다 짧은 면간 거리를 갖고 있으며, 배관 시스템의 플랜지 사이에 밸브를 설치하도록 설계된 밸브 몸체 
웻지 Wedge 스템 중심선으로부터 양측으로 기울어 진 밸브 시팅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쐐기형 게이트밸브의 닫힘 부재. 웻지는 솔리드(Solid), 분할(Split) 및 플렉스(Flex)의 디자인이 있음. 
요크 Yoke 스템 너트를 포지션닝하고, 밸브 구동장치를 장착하는데 쓰이는 밸브 구성 부품으로, 스템의 구동력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전달, 보호함 
요크 부싱, 요크 너트 Yoke Bushing, Yoke Nut 요크 너트, 요크 부싱 또는 스템 너트는 스템이 통과하는 요크 상단의 홈에 고정되는 밸브 부품. 회전식 작동력을 밸브 스템의 추력으로 변환시키는 부품
슬라이딩 스템 Sliding Stem 슬라이딩 스템. 이 스템은 회전을 하지 않고 밸브를 닫거나 열기 위해 밸브 내부와 외부로 슬라이드 운동을 함. 이 설계는 수동 레버로 작동하는 신속 개방 밸브에 사용되기도 하며, 또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작동되는 제어 밸브에도 사용됨
로타리 스템 Rotary Stem 이것은 볼, 플러그 및 버터 플라이 밸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계. 스템의 1/4 회전 동작으로 밸브를 개폐함. 
스타핑 박스 Stuffing Box 스타핑 박스는 밸브의 본닛부 상부에 위치하며 압력 경계부에 있음. 스템 패킹을 안정하게 포지션닝하여 밸브 내부의 압력 유체를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본닛부의 한 부분임. 스템 패킹을 압축하고 이를 유지시키는 패킹 글랜드, 패킹 조이개(그랜드 플랜지) 및 글랜드 볼트가 스타핑 박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임
스템 보호 카바 Stem Protector or Cover 스템의 패킹 슬라이딩 부와 스템 나사부를 외부의 더러운 환경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밸브 외부의 스템부에 설치되는 보호 카바 

(2) 밸브의 명칭 

밸브 명칭은 실제 사용 시 다양한 종류의 밸브와 용도로 인하여 명칭이 밸브의 형식이나 형상 구조 또는 기능에서 파생된 경우가 많다. 또한 밸브에 부착된 구동장치의 형식이나 구조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기도 한다.  

<차단 및 역류방지 밸브> 

글로브밸브

용어 명칭영문 용어 용어 설명 
스톱밸브 Stop Valve 밸브의 디스크가 밸브 스템에 의해서 밸브 시트에 직각방향으로 작동하는 글로브형 밸브의 총칭 
글로브밸브 Globe Valve 통상 구형의 밸브 몸체을 가지고, 밸브의 입구∙출구의 중심선 중간에 밸브 디스크와 시트가 위치하고, 디스크에 연결된 스템의 상하운동으로 유체흐름을 차단하는 밸브로, 유체의 흐름이 S자 형으로 되는 글로브밸브.  
앵글밸브 Angle Globe Valve 밸브 몸체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선이 직각이다. 따라서 유로 방향도 직각이 된다. 글로브밸브 가운데 자체의 압력 손실이 비교적 적다. 
Y-글로브밸브 Y-Globe Valve 밸브 몸체의 입구와 출구는 일직선이지만, 밸브 스템의 축이 유로와 예각(45도)을 이룬다. 밸브 자체의 압력 손실이 비교적 적다. 
니들밸브  Needle Globe Valve 유체 흐름량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밸브 디스크 (프러그)를 바늘같이 가늘게 한다. 통상 시트의 직경대비 디스크(프러그)의 길이가 2배 이상 일때 니들밸브라 한다. 따라서 주로 DN50 이하의 소형 밸브에 주로 적용한다. 

게이트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용어 설명 
게이트 차단밸브 Gate Valve 디스크가 유체의 흐름 통로를 수직으로 끊어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로 유체 흐름이 일직선상으로 되는 차단밸브의 총칭 
웻지 게이트밸브 Wedge Gate Valve 디스크가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게이트밸브 
패러럴 슬라이드 게이트밸브 Parallel Slide Gate Valve 서로 평행한 두개의 독자의 디스크가 조합된 디스크 뭉치 로, 유체 압력에 의해 밸브 출구쪽의 디스크가 시팅 면압을 받아 흐름을 차단하는 게이트밸브 
더블 디스크 게이트밸브  Double Disc Gate Valve 두개의 독자의 디스크가 쐐기형상으로 조합된 디스크 뭉치에 밸브 스템의 누르는 힘(추력)에 의해 디스크 뭉치가 시트에 추가 면압을 줌으로써, 밸브 입구∙출구쪽 시트에 동시 면압을 가하여 흐름을 차단하는 게이트 밸브 
벤츄리 포트 게이트밸브 Venturi Port Gate Valve 밸브의 입구.출구의 직경에 비하여 밸브 포트의 직경을 작게 설계하여 벤츄리 오리피스와 같은 유체역학적 특성을 갖도록 설계된 게이트밸브 
스루 콘디트 게이트밸브 Through Conduit Gate Valve 밸브의 입구.출구의 직경과 동일하게 밸브 포트를 설계 하고, 밸브 포트에서 유체 흐름의 저항요소를 배제하여 자체 압력손실을 최소화한 게이트밸브. 디스크는 더블 익스팬딩 구조가 일반적임 
나이프 게이트밸브 Knife Gate Valve 디스크는 칼날같이 얇고 평행한 판으로 되어있고, 이 칼날 같은 디스판을 밸브 몸체의 소프트 시트가 잡아주어 어느 정도의 시팅 기밀을 유지하는 밸브임. 제지산업과 같이 슬러지가 있는 유체에 적용됨. 

체크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 명 
체크밸브,  
역류방지밸브 
Check Valve, Non-Return Valve 밸브 디스크를 유체 배압에 의한 역류가 되지 않토록 밸브 디스크 스스로 동작하는 밸브를 총칭  
(스프링) 리프트 체크밸브 (Spring Loaded) Lift Check Valve 디스크(프러그)가 밸브 몸체 또는 본닛의 안내면에 따라 시트면과 수직으로 상하 운동을 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를 통칭. 디스크 자중 또는 보조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역류 시 닫힘력을 유지함.  
볼 체크밸브 Ball Check Valve 일반적인 콘(Cone)형식의 디스크가 아닌, 구형의 볼로써 리프트 체크밸브의 디스크를 대체한 것. 스프링을 이용하여 역류 시 닫힘력을 보조하기도 함. 
스윙 체크밸브 Swing Check Valve 디스크가 밸브 몸체내 회전축 핀을 기점으로 원호(약 40~60도) 운동을 하며, 유체 역류 시 디스크가 밸브 시트 면에 수직으로 압력을 받아 역류를 방지함. 디스크의 닫힘력은 유체 역류 속도와 디스크 자체 자중에 의함. 
스크류다운 스톱 체크밸브 Screw-down Stop Check Valve 일반 글로브밸브와 리프트 체크밸브의 기능을 하나의 밸브에서 동작되도록 한 체크밸브. 밸브 스템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열림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시 차단밸브의 기능 도 함께 할 수 있음. 
틸팅 디스크 체크밸브 Tilting Disc Check Valve 본 체크밸브는 디스크 내에 회전축 핀을 가지고 있고, 역류 시 디스크의 닫힘력을 추가하기 위한 날개를 가지고 있음. 상대적으로 무거운 디스크의 자중과 역류속도에 의한 힘으로 디스크가 시트에 압착하도록 설계됨 
싱글 플레이트 웨이퍼 체크밸브 Single Plate Wafer Check Valve 원판형의 웨이퍼를 밸브 몸체에 고정된 스프링 힌지 핀과 코일 스프링에 의해 평소 닫힘 상태로 있다가 유체가 흐를 때 웨이퍼가 열리는 구조의 체크밸브. 스윙 체크밸브의 암 (Arm) 대신에 스프링을 채택한 체크밸브 
듀얼 플레이트 웨이퍼 체크밸브 Dual Plate Wafer Check Valve 반원판(웨이퍼) 형상을 가진 2개의 디스크가 스프링에 의해 닫힘 상태로 유지되다가 유체가 흐를 때 디스크가 열리는 구조 로 만들어진 체크밸브. 스프링은 밸브 중앙에 힌지핀으로 고정  
노즐 체크밸브 Nozzle Check Valve 밸브 몸체 내부에 유로와 같은 축선상의 시트와 디스크 (프러그)가 위치하고, 디스크는 항상 스프링 힘에 의해 평소 닫힘 상태를 유지. 디스크는 가이드를 위해 디스크 축이 유로 방향과 일치하고 여기에 스프링이 장착됨. 
플래퍼 체크밸브 Flapper Check Valve 싱글 플레이트 웨이퍼 체크밸브와 동형의 구조이나, 스프링을 제외하여 단지 플랩의 자중으로만 닫힘 상태를 유지하다가 유체 역류 시 역류 속도에 의한 힘으로만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콕(Cock)

용어 명칭영문 용어용어 설명
콕 Cock 테이퍼 또는 평행한 상태의 밸브 입출구 시트에 맞는 디스크 (프러그)에 유로 구멍을 내어,
이 디스크를 90도 회전함으로써, 유체 흐름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밸브의 총칭 
프러그 콕 Plug Cock 밸브 몸체와 프러그만으로 구성된 트림으로 패킹과 같은 씰 구조가 없는 가장 단순한 콕밸브 
그랜드 콕 Gland Cock 프러그를 안전한 구조로 유지하고, 외부 누설에 대한 대책으로 패킹 씰 구조로 만들어진 콕. 큰 사이즈의 콕에는 본닛이 필요 

프러그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명 
비윤활 프러그밸브 Non-Lubricated Plug Valve 전형적인 그랜드 콕 구조이나, 내부 누설에 대한 대책으로 PTFE와 같은 소프트 씰 구조의 시트이거나 정밀하게 가공된 프러그를 가진 밸브. 그랜드 콕의 별칭 밸브 
윤활 프러그밸브 Lubricated Plug Valve 프러그에 나선형의 작은 홈(Groove)을 내어 흐르는 유체를 이 홈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프러그와 밸브 몸체 시트와의 기계적 마찰력을 저감한 구조의 프러그밸브  

볼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명 
볼밸브 Ball Valve 구형의 볼에 유로 포트를 원형으로 드릴링 한 밸브로 콕과 같은 구조. 볼을 감싸는 밸브 몸체의 구조는 일체형 (Single or Side Entry Body), 분할형(Split Body), 톱 엔츄리(Top Entry) 및 용접형(Welded Body)이 있다. 볼을 밸브 몸체에 시팅시키는 방법으로 후로팅 볼(Floating Ball)과 트러니온 볼(Trunion Ball)이 있음. 
풀 포트 볼밸브 Full Port Ball Valve 밸브와 연결된 배관의 내경과 같은 수준의 내경을 가진 볼 밸브를 통칭하는 것으로, 유체 흐름의 저항은 거의 없으나, 밸브 몸체가 커지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증가 
레듀스드 포트 볼밸브 Reduced Port Ball Valve 통상 연결된 배관의 내경보다 한단계 낮은 배관 사이즈의 포트 내경을 가진 볼밸브를 통칭. 포트 내경이 작기 때문에 밸브 몸체는 그 만큼 작아져서 경제적이다. 유체 흐름의 저항도 다른 유형의 밸브에 비하여 낮다. 
브이 포트 볼밸브 V-Port Ball Valave 볼 밸브의 볼 출구쪽의 유로 형상을 V형으로 하여 유체 흐름을 밸브 개도의 정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설계된 볼 밸브. 유체 흐름의 속도가 밸브 개도에 따라 달라지며, 낮은 개도에서는 고속 유체흐름에 견디는 튼튼한 밸브 트림 구조가 되어야 함. 
멀티 포트 볼밸브 Multi-Port Ball Valve 볼의 유로를 관통형이 아닌 두방향 또는 4방향으로 변환 (Diverting) 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볼밸브. 
컨튜어드 볼밸브 또는 하프 볼 밸브 Contoured Ball Valve or Half Ball Valve 볼의 형상을 반구형(半球形, Hemisphere)으로 하여 유체의 흐름량을 특성있게 조절할 수 있게 한 볼밸브로, 트러니온 볼밸브 형식으로 볼을 지지함. 

버터후라이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명 
버터후라이밸브 Butterfly Valve 밸브 몸체에 밸브 스템을 축으로 하여 원판모양의 디스크를 축 중심으로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시킴. 밸브 스템 축과 디스크는 통상 일체형으로 설계되며, 축과 디스크의 회전 축이 동심인 것과 편심인 것이 있음. 편심인 버터후라이 밸브는 시트의 씰 특성이 우수하여 High Performance(HP) 버터후라이밸브라고 함. 
밸브의 배관 연결 방식에 따라 웨이퍼(Wafer)형, 러그(Lug Style)형, 프랜지(Flange)형, 용접형(BW)이 있으며, 디스크 축의 편심 형식에 따라 동심(Concentric), 편심(Single Offset), 이중 편심(Double Offset), 삼중 편심(Triple Offset)형이 있음. 
댐퍼 Damper 주로 압축성 유체의 유량조절을 목적으로 하며, 밸브 닫힘 시의 누설을 어느 정도 허용되는 버터후라이밸브의 한 형식.  
동심형 버터후라이밸브 Concentric Butterfly Valve 디스크와 밸브 스템의 축, 그리고 시팅면이 동일 축 선상에 있으며, 시팅면의 기밀 유지는 시트면에 소프트 재질인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재질을 입혀 처리함. 유체의 압력/온도에 민감하며 시트의 마찰력이 크다. 저온/저압 유체에 사용 
편심형 버터후라이밸브 Single Offset Butterfly Valve 디스크의 시팅면과 시트의 시트면이 동일 축 선상이지만, 스템 축이 밸브의 유로 중심선으로 편심이 되어 시팅 효과를 높인 밸브로 고성능(High Performance) 버터후라이밸브라고 불렸음. 시트은 테프론(PTFE)과 같은 소프트 시트가 적용됨 
이중 편심형 버터후라이밸브 Double Offset Butterfly Valve 디스크의 시팅면과 시트의 시트면이 동일 축 선상이지만, 스템 축이 밸브의 유로 중심선과 디스크 중심과 이중으로 편심이 되어 시팅 효과를 증대시킨 밸브로 금속 대 금속의 시팅이 가능하며, 시팅 효과도 탁월함. 
삼중 편심형 버터후라이밸브  Triple Offset Butterfly Valve 디스크의 시팅면과 시트의 시트면이 동일 축 선상이지만, 밸브 몸체의 시팅면이 편심이 되어 있고, 또한 스템 축이 밸브의 유로 중심선과 디스크 중심과 이중으로 편심이 되어 총 3중으로 편심이 되어, 시팅면 360도 전체에 시팅 효과를 골고루 증대시킨 밸브로 금속 대 금속의 시팅이 기본이며, 양방향의 시팅 효과도 탁월함. 
복합 역류방지 버터후라이밸브 Combined Non-Return Butterfly Valve 편심형 버터후라이 밸브의 스템축에 커프링 장치를 부착하여 역류방지 기능의 체크밸브와 차단 기능의 버터후라이밸브를 겸하도록 한 밸브. 필요 시 중추(重錘, Counterweight)와 공기압 구동장치가 부가되기도 함. 

다이아후람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명 
다이아후람밸브 Diaphragm Valve 천연고무(합성고무) 또는 박판 금속의 신축성이 있는 다이아후람으로 유체 흐름을 개폐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밸브 
웨아형 다이아후람밸브 Weir Diaphragm Valve 밸브 몸체의 중앙에 원호형을 가진 다이아후람밸브로서 유로 흐름의 개폐는 물론 유량 조절에도 많이 쓰인다.  
스트레이트형 다이아후람밸브 Straight-way Diaphragm Valve 밸브 몸체와 유로가 직선상으로 연결 배관의 유로경과 같아 풀 포트(Full Port)이고, 주로 유로 흐름의 개폐에 사용된다.  
메탈 다이아후람밸브 Metal Diaphragm Valve 다이아후람을 여러 겹의 금속제 박판으로 만든 것으로 고온 고압의 유체 흐름을 개폐하는 용도로만 사용됨.  금속 다이아후람의 특성상 중간 개도에서는 진동 피로로 인한 급격한 수명 저하가 예상되어 완전 개폐용으로만 사용함. 유체의 외부 누설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밸브임.  

기타 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명 
피스톤밸브 Piston Valve 밸브 몸체가 피스톤 형상을 가진 글로브밸브 
디루지밸브 Deluge Valve 파이롯트밸브 동작으로 메인 밸브가 즉각 개방되도록 한 밸브로 메인 밸브에 파이롯트 밸브가 함께 구성되어 있음 
핀치밸브 Pinch Valve 고무나 신축성있는 슬리이브를 눌음으로써 유로를 조정하거나 차단하는 밸브로 일명 슬리이브밸브라고도 함. 
메니폴드 Manifold 밸브 한 몸체에 같은 기능을 가진2개 이상의 독립된 밸브들로 구성한 밸브로 유로방향의 조정 등, 주로 계측제어용으로 사용 
더블 블록 앤 브리드 밸브 Double Block & Bleed Valve 배관에 설치된 연속된 두 개의 밸브와 두 밸브 사이의 배관 내 압력을 방출할 수 있는 세 번째 밸브의 조합을 가진 밸브. 이러한 세 개의 분리된 밸브 대신에 하나의 양방향 밸브(two-way valve)와 하나의 차단밸브로 구성된 배치도 가능함. 

<자동 조정밸브 – 레귤레이팅 밸브> 

레귤레이팅 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 명 
레귤레이팅 밸브 Regulating Valve 밸브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배관시스템의 검출부로 받아, 이를 밸브 자체의 제어 메커니즘의 힘의 평형을 이루어 추가의 외부 동력원 없이 스스로 제어하는 밸브의 총칭 
압력 레귤레이팅 밸브 Pressure Regulating Valve 레버, 중추, 스프링 또는 유체 압력을 이용하여 압력을 스스로 조정하는 밸브  
감압밸브 Pressure Reducing Valve 밸브의 출구 압력을 입구 압력보다 낮은,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밸브 
진공 레귤레이팅 밸브 Vacuum Regulating Valve 대기압보다 낮게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밸브 
배압 레귤레이팅 밸브 Back Pressure Regulating Valve 입구 압력을 설정한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입구의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입구의 압력을 방출 조정하는 밸브 
차압 레귤레이팅 밸브 Differential Pressure Regulating Valve 입구 압력과 출구 압력의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조정밸브 
압력 비례 레귤레이팅 밸브 Pressure Ratio Regulating Valve 서로 다른 두개의 압력 비율을 어느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밸브 
온도 레귤레이팅 밸브 Temperature Regulating Valve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을 하는 기구 메커니즘을 통하여 유체의 온도를 설정 값 수준으로 조정하는 밸브 
유량 레귤레이팅 밸브 Flow Regulating Valve 유량 변화에 따르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 시킴으로 유량을 일정하게 흐르도록 조정하는 밸브 
수위레벨 레귤레이팅 밸브  Level Regulating Valve 수위 레벨을 검출하는 기구 메커니즘을 통하여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수위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밸브 

<동력 구동 밸브> 

원격 조작이 가능한 동력 구동 밸브 : 밸브와 떨어진 곳에서 조작이 가능한 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 명 
전동 모터 구동 밸브 Electric Motor Operated Valve 감속장치가 부착된 전동 모터로 구동되는 밸브의 통칭 
전자석 구동 밸브 Solenoid Valve 전자석 코일이 통전될 때 발생하는 자기력으로 구동되는 개폐 전용 밸브 
공압 다이아후람 구동 밸브 Pneumatic Diaphragm Operated Valve 유연한 다이아후람과 스프링으로 조합된 구동장치로 제한된 행정(Stroke)만 가능함.저압(5barg이하) 공기만 사용 
공압 실린더 구동 밸브 Pneumatic Cylinder Operated Valve 실린더에 피스톤으로 직선운동 또는 기구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회전운동을 하도록 한 구동 장치로 고압에도 적용 가능함 
유압 실린더 구동 밸브 Hydraulic oil Cylinder Operated Valve 공압 실린더 구동 장치의 구동원으로 공압 대신 유압을 이용 
수압 실린더 구동 밸브 Hydraulic Cylinder Operated Valve 공압 실린더 구동 장치의 구동원으로 공압 대신 수압을 이용 
공압 모터 구동 밸브 Air Motor Operated Valve 감속장치를 부착한 공압 구동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 
유압 모터 구동 밸브 Hydraulic Motor Operated Valve 감속장치를 부착한 유압 구동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 

<안전밸브와 안전-릴리이프밸브> 

안전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 명 
안전밸브 Safety Valve 밸브 입구의 압력이 상승할 때, 이 압력이 밸브에 사전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하고, 다시 입구 압력이 적정 압력으로 떨어지면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를 가진 자력식 밸브의 총칭. 밸브가 열릴 때, 시스템 안전성 차원에서 안전 확보가 최우선인 고압 증기나 가스 취급시설 및 배관 시스템에 적용. 무엇보다도 안전성 측면에서 충분한 정격 토출 유량을 가져야 함. 
스프링식 안전밸브 Direct Spring Loaded Safety Valve 원통형 코일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디스크에 직접 하중을 가하여 시스템 압력을 차단하는 방식의 안전밸브  
중추식  안전밸브 Dead-weighted Safety Valve 상당한 무게의 중추를 지렛대 원리로 디스크에 직접 하중을 가하여 시스템 압력을 차단하는 방식의 안전밸브 
중추-레버식 안전밸브 Lever & Weighted Safety Valve 레버의 한 편에 중추를 거는 방식의 중추식 안전밸브의 변형 
스프링-레버식 안전밸브 Lever & Spring Safety Valve 스프링식 안전밸브에 레버를 추가시킨 안전밸브 
파이롯 밸브 부착 안전밸브 Pilot Operated Safety Valve 파이롯트밸브(보조밸브)와 메인밸브를 조합한 안전밸브. 파이롯트 밸브가 먼저 동작하여 메인 밸브를 작동시킴 
실린더 조작식 안전밸브 Cylinder Operated Safety Valve 밸브 디스크 상부에 실린더(피스톤) 동작기구를 부착한 안전밸브 
벨로우즈 밸러스 안전밸브 Bellows Balanced Safety Valve 안전밸브의 배압이 안전밸브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트 (포트) 내경과 같은 크기의 벨로우즈를 사용하여 배압을 평형 되도록  만든 안전밸브 
개방형 안전밸브 Opened Type Safety Valve 안전밸브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일부를 출구이외의 외부로도 방출할 수 있게 설계된 안전밸브 
밀폐형 안전밸브 Enclosed Type Safety Valve 안전밸브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일부를 출구이외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설계된 안전밸브 
리프트 안전밸브 Lift Safety Valve 밸브 디스크의 행정거리가 시트(포트) 내경의 1/40이상에서 1/4이하로 조정되어 토출 시 시트의 유로면적을 최소로 만든 안전밸브 
전량식 안전밸브 Full Bore Safety Valve 시트의 내경을 유로 직경의 1.05배 이상으로 하여, 디스크가 개방되었을 때 시트에서의 유로면적이 밸브 입구의 면적보다 1.7배 이상으로 설계된 안전밸브 
트윈형 안전밸브 Twin Type Safety Valve 하나의 Y-형 배관에 2개의 안전밸브를 설치한 안전밸브 
전자석 안전밸브 Magnetic Operated Safety Valve 안전밸브의 한 부분에 솔렌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 안전밸브의 레버를 동작시키는, 밸브를 원격 조작할 수 있게 한 안전밸브 

릴리이프 밸브 

용어 명칭 영문 용어 설 명 
안전 릴리이프 밸브 Safety Relief Valve 밸브 입구측의 압력이 상승하여 규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디스크가 열려 압력을 낮추고, 다시 압력이 규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디스크가 닫혀 시스템 압력을 일정 압력 수준으로 자력 조정하는 밸브로 공칭 토출 유량을 배출할 수 있어야 하며, 주로 압축성 유체의 압력 조정에 안전 측면으로 사용 
릴리이프 밸브 Relief Valve 안전 릴리이프 밸브가 압축성 고압 유체에 적용되는 반면에, 릴리이프 밸브는 비압축성 유체의 압력 조정에 시스템의 안전 측면에서 사용 
진공 릴리이프 밸브 Vacuum Relief Valve 장치내의 압력이 규정된 진공도를 초과할 경우, 디스크를 열어 규정 진공도를 유지시키는 자력식 밸브 
진공 브레이커 Vacuum Breaker 배관라인의 형상이나, 기기 등으로 인하여 배관 관로에 진공이 발생하면 유체 흐름이 어려움. 진공이 생기는 곳에 이를 설치하여 진공이 되지 않도록 외부 공기를 넣어주는 자동밸브